본문 바로가기

실업급여
2025년 더 강화된 실업급여 내용정리 ( + 5차실업인정일 전에 알아야 하는 것 ) 2025년 부터 실업급여 제도가 개편되어 수급조건과 신청절차가 더 까다로워졌습니다. 실업인정일에도 제출한 정보를 더 꼼꼼히 확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니 참고하세요! 개편된 사항은 2025년 3월 31일 신청부터 적용됩니다.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 2025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실업급여 하한액도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1일 하한액 : 64,192원 (2024년 대비 약 1,088원 증가) 1일 상한액 : 66,000원 (동일) 월 기준 하한액 : 약 192만원 월 기준 상한액 : 약 198만원 반복 수급자에 대한 감액적용 최근 5년 내 3회이상 실업급여를 수급한 경우, 지급액이 감액됩니다. 3회차 수급 : 10% 감액4회차 수급 : 25% 감액 5회차 수급 : 40% 감액6회차 이상 수급.. 더보기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회사직원퇴사 상실신고 하기 (직장인가입자) 4대 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에서 회사직원 퇴사 상실신고 하기(직장인가입자) 회사에서 직원이 퇴사할 경우 상실신고하는데요 4대 보험연계센터에서 직접 상실신고를 해보았습니다. *본 포스팅은 경리업무 중 경험/기록/복습의 목적으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4대보험 상실신고 및 신고기한 그리고 과태료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자격상실신고서) *건강보험 (직장인가입자 자격상실신고서) *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 자격상실신고서) *산재보험 (근로자 자격상실신고서) 이렇게 4가지 사회보험에 대해 상실처리가 필요합니다. 건강보험은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 국민/고용/산재는 퇴사일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를 해야 합니다. 직원이 퇴사하면 2주내에 상실신고를 한 번에 하시면 되겠습니다. !! 만약에 기간 안에.. 더보기
실업급여에 대한 모든것 (수급조건, 신청과정, 방법, 수령액 )외 참고하면 좋을정보를 정리해봤습니다! 회사를 다니고 계시거나 권고사직(비자발적)등의 사유로 퇴사를 앞두고 계신 분들이 궁금한 실업급여에 대한 모든 것! 정리해 봤습니다. * 본 포스팅은 경험으로 작성한 포스팅으로 참고용으로 기관 홈페이지나 기타 포스팅에서 다루지 않은 경험이 많이 섞여있어서 참고만 해주세요. 실업급여(구직급여) 란? 고용노동부에서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의 비자발적 사유의 이직으로 재취업을 준비하는 기간 동안 구직에 필요한 급여를 지원하면서 생활안정 및 빠른 이직을 돕기 위한 지원금입니다. 저도 예전에 회사에서 임금을 받지 못해서 '임금체불'로 퇴사를 한 후에 실업급여를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임금체불로 백수아닌 백수가 되었을 때 실업급여라도 있어서 참 다행이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실업급여(구직급여) 지원내용 구분.. 더보기